4년 전 전역한 A 씨, 경찰에서 황당한 연락 받아 <br />"수도권 병원 곳곳에서 A 씨 이름으로 마약류 처방" <br />군 내부 통신망에서 전역자들 개인정보 빠져나가<br /><br /> <br />현직 육군 간부가 전역자 90여 명의 개인정보를 빼돌린 뒤, 몰래 마약류 의약품을 처방받아오다 붙잡혔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간부는 지인과 함께 병원 수십 곳을 돌아다니며, 가짜 신분증을 보여주고 약을 타냈습니다. <br /> <br />권준수 기자가 단독취재했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육군에서 전역한 지 4년 가까이 된 주부 A 씨는 최근 경찰에서 황당한 연락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과 경기도에 있는 여러 병원에서 자신의 이름으로 '졸피뎀' 처방이 이뤄졌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졸피뎀은 마약류 수면제로,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됩니다. <br /> <br />[A 씨 / 지난 2020년 육군 전역 : 제 명의가 도용돼서 의료용 마약을 처방받았다고 하더라고요. 당황스럽고 좀 무섭더라고요. 확인해보니까 7건 정도 있었고, 일단은 이게 기록에 남는 거니까.] <br /> <br />누군가 A 씨인 척하며 병원에서 처방을 받은 건데, 알고 보니 '인트라넷' 군 내부 통신망이 진원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현직 육군 간부인 40대 남성 B 씨가 이 내부망에서 전역자들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를 빼낸 뒤, <br /> <br />지인인 30대 여성과 함께 병원 90여 곳을 돌아다니며 마약류 의약품을 타낸 겁니다. <br /> <br />이들은 몰래 훔친 개인정보로 가짜 신분증을 만든 뒤, 반년 넘게 마약류 처방을 받아왔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파악된 피해자는 백 명 가까이 됩니다. <br /> <br />마악류는 한 사람이 처방받을 수 있는 양이 한정돼 있다 보니, 더 많은 약을 타내기 위해 범행을 저지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병원에서 신분증을 제대로 확인하지 않는 경우, 다른 사람의 이름과 주민등록번호로도 처방받을 수 있다는 점을 노렸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이런 사례를 막기 위해 지난 5월 중순부터 병원 진료 시 '신분증 의무 확인' 제도가 시행됐지만, 범행을 막지 못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병원은 환자가 많아 바쁜 시간에는 깜빡 속아 넘어갈 수밖에 없다고 주장합니다. <br /> <br />[○○ 병원 관계자 : 주민등록번호를 이게 그분이 맞는지 아닌지 저희가 어떻게 다 그걸 볼 순 없잖아요.] <br /> <br />[△△ 병원 관계자 : 저희도 피해자예요. '빨리 진료받아.' 이러면서 두 분이 얘기하시고 계속 바람을 잡으셨으니까.] <br /> <br />현직 군인인 B 씨는 군 수사당국에, 함께 범행을 저지른 여성은 지난달 말 검찰에 넘겨졌습니다. <br />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권준수 (kjs819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4070210553070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